지난달 27일 아침 출근길, 보라매병원역에서 신림선을 기다리던 A 씨. <br /> <br />사람들이 내리자마자 열차에 올라탔는데 닫히던 문에 몸이 끼어서 갈비뼈와 팔꿈치에 부상을 입었습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문 끼임 사고 피해자 : 최근 한 달 동안 문 끼임 사고를 4번 정도 당했습니다. 전화하니까 무인 역사이고 안내 방송을 했기 때문에 제가 첫 번째로 탑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제 귀책이라는 식으로 얘기를 했고….] <br /> <br />신림선 홈페이지를 보면 A 씨처럼 전동차 출입문에 몸이 끼었다거나 문이 빨리 닫혀 위험하다는 민원이 꾸준히 올라옵니다. <br /> <br />신림선 측이 출입문 끼임 사고로 승객들에게 보험료를 지급한 경우도 재작년에 13건, 작년에 5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인 경전철인 신림선은 역사별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출입문을 자동으로 열고 닫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월 이후 혼잡 시간대 역에 서는 시간이 최소 30초에서 최대 45초로 이전보다 늘었는데, 다른 무인 경전철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긴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, 유독 신림선에서 출입문 끼임 민원이 잇따르는 이유는 뭘까? <br /> <br />문제는 출입문이 다른 경전철보다 좁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신림선 출입문의 폭은 1,050mm로 한 번에 두 사람이 겨우 지나갈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수요 예측이 잘못됐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. <br /> <br />출퇴근이나 통학 시간대 예상보다 이용객이 더 많이 몰린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곽상록 /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철도운전시스템공학과 교수 : 차량을 설계할 때 여객 수요나 목적에 따라서 설계를 하는데 출입문이 여객이 탑승하거나 내릴 때 안전에 문제가 없으면 규제는 안 하고 있는데…. 출퇴근 시간이나 탑승객 수, 승하차 인구가 많다, 그러면 중전철로 갔어야죠. 아니면 출입문을 넓은 것으로 설계해야 했는데….] <br /> <br />신림선 측은 문 폭이 좁은 건 인정하면서도 열차 운행 횟수와 승객 수 등을 고려해 역사에 머무는 시간과 출입문 개폐 시간을 최적으로 관리하고 있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이어지는 만큼 안내요원을 더 배치하는 등 혼잡도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고준호 /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 : 결국은 수요 분산을 하긴 해야 해요. 어떻게 하면 (사람이 최대로 몰리는) 첨두시간대 수요를 주변 시간으로 분산할 거냐,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건 정보제공. (휴대전화) 앱 기능을 써서 할 수도 있고, 외국 같은 경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93011593707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